
목차
리눅스 운영체제는 파일 시스템이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, 각각의 디렉터리는 특정한 역할을 수행합니다. 아래는 주요 폴더 및 그 역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.
리눅스 주요 디렉터리 구조
| 폴더 | 설명 |
|---|---|
/ (루트 디렉터리) |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최상위 디렉터리. 모든 파일과 폴더의 기준점 |
/bin (Binary) | 일반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명령어 저장 (ls, cat, cp 등) |
/boot | 부팅 관련 파일과 커널 이미지 저장 (vmlinuz, grub 폴더 등) |
/dev (Devices) | 시스템의 모든 하드웨어 장치가 파일 형태로 관리 (/dev/sda, /dev/null 등) |
/etc (Configuration Files) | 시스템 설정 파일 저장 (/etc/passwd, /etc/fstab 등) |
/home | 각 사용자별 개인 파일과 설정 저장 (/home/user1, /home/user2 등) |
/lib, /lib64 | 실행 파일들이 사용하는 공유 라이브러리 저장 (/lib/libc.so.6 등) |
/media, /mnt | 외장 하드, USB 등의 저장 장치가 마운트되는 곳 |
/opt (Optional Software) | 추가적으로 설치된 프로그램 저장 (서드파티 소프트웨어) |
/proc (Process Information) | 커널과 관련된 가상 파일 시스템 (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 제공) |
/root | root 사용자 전용 홈 디렉터리 |
/run | 시스템이 부팅될 때 생성되는 임시 파일 저장 공간 |
/sbin (System Binaries) | 시스템 관리자(root)가 실행할 수 있는 필수 명령어 (reboot, fsck 등) |
/srv (Service Data) | 웹 서버, FTP 서버 등의 데이터 저장 |
/sys | 하드웨어 및 커널과 관련된 가상 파일 시스템 |
/tmp (Temporary Files) | 임시 파일 저장 (시스템이 재부팅되면 삭제됨) |
/usr (User Binaries & Resources) |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저장 (/usr/bin, /usr/local 등) |
/var (Variable Data) | 로그 파일, 캐시 데이터 저장 (/var/log, /var/spool 등) |
추가 상세 설명
1. /etc (설정 파일 저장소)
/etc/passwd: 시스템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됨/etc/shadow: 암호화된 사용자 비밀번호 저장 (보안 파일)/etc/group: 사용자 그룹 정보 저장/etc/fstab: 시스템이 부팅될 때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 정보 저장/etc/hostname: 시스템의 호스트네임(컴퓨터 이름) 설정/etc/hosts: 로컬 네트워크의 호스트 IP 매핑 정보 저장/etc/network/interfaces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/etc/ssh/sshd_config: SSH 서비스 설정 파일
2. /var (가변 데이터 저장소)
/var/log: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의 로그 파일 (syslog,auth.log등)/var/spool: 프린터 대기열, 메일 큐 등과 같은 데이터 저장/var/tmp: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유지되는 임시 파일 저장 공간/var/lib: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그램의 동적 데이터 저장/var/www: 웹 서버의 기본 문서 저장 디렉터리
3. /proc (가상 파일 시스템 – 시스템 정보 제공)
/proc/cpuinfo: CPU의 상세 정보 제공/proc/meminfo: 시스템 메모리 사용량 확인/proc/uptime: 시스템이 부팅된 이후의 시간 정보 제공/proc/loadavg: 시스템의 현재 부하 상태를 확인/proc/filesystems: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 목록/proc/net: 네트워크 관련 정보 제공
4. /sys (하드웨어 및 시스템 정보 저장소)
/sys/class: 장치의 유형별 분류된 정보 제공/sys/devices: 시스템 내 장치 목록 및 상세 정보 제공/sys/module: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커널 모듈 정보 제공/sys/block: 블록 장치(디스크 등) 정보 제공/sys/bus: 하드웨어 버스 정보 제공
5. /usr (사용자 프로그램 및 라이브러리 저장소)
/usr/bin: 일반 사용자용 실행 파일 저장 (grep,awk등)/usr/sbin: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하는 실행 파일 (apache2,cron등)/usr/lib: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저장/usr/local: 사용자가 직접 설치한 프로그램 및 라이브러리 저장/usr/share: 문서, 매뉴얼, 아이콘, 글꼴 등의 데이터 저장
리눅스 폴더 구조 이해의 중요성
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서버를 관리할 때, 각 디렉터리의 역할을 이해하면 파일을 빠르게 찾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 특히 /etc, /var, /proc, /sys, /usr 등은 시스템 관리에서 자주 사용되므로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, /proc과 /sys는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, 운영체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.